METRO9 BOARD

위험성평가 컨설팅
산업보건지 기재

글ㅣ 산업안전처 이도후 과장

대한산업보건협회에서 발간하는 K-산업보건지에 서울시메트로9호선(주)의 위험성평가 컨설팅 주관 부서 산업안전처의 이야기가 실렸습니다.

위험성평가란 무엇일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산업안전처 이도후 과장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산업보건지에 실린 내용과 함께 위험성평가에 대한 산업안전처 이도후 과장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시죠!

K-산업보건지에 서울시 메트로9호선(주)의 산업안전처 이야기가 실리다!

위험성평가 컨설팅 관련 인터뷰 : 산업안전처 이도후 과장

Q1. 대한산업보건협회의 위험성평가 컨설팅이 무엇이며, 서울시메트로9호선과 어떻게 인연이 닿게 되었는지?

2022년 11월 30일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발표, 즉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이 2023년 산업안전의 주요 과제로 선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3년 5월 22일 사업장 위험성 평가(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에 관한 지침이 일부 개정으로 위험성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었습니다.

산업안전처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위험성평가의 시기 및 근로자의 참여 등에 대한 내용이 고용노동부 고시 개정으로 법에 명시됨에 따라, 서울시메트로9호선(주)의 위험성평가의 적정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또한 안전 전문기관을 통해 우리 사업장 유해 위험요소를 발굴하여 위험성평가 중심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위험성평가 컨설팅을 계획하였습니다.

대한산업보건협회는 경기도시공사, 인천도시공사, 도로교통공단 등 공공기관의 중대재해처벌법 및 위험성평가에 관한 오랜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산업보건안전 전문기관으로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출신 전문위원이 연구 및 분석 등에 참여하는 안전 전문기관으로서 우리 사 위험성평가 컨설팅 업체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Q2. 이번 서울시메트로9호선의 위험성평가 컨설팅 진행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 위험성평가 평가 항목
① 9호선 위험성평가 체계, 현황 및 수행내역 등 검토
② 9호선 위험성평가 검토 등을 통해 위험성평가 개선, 보완사항 및 솔루션 제공
③ 9호선 작업특성 고려한 위험작업 위험요인 중 · 상해 이상 중점평가 실시
④ 위험성 평가 컨설팅 결과물 토대로 위험성평가 담당자 등 교육 수행
⑤ 2023년 고용노동부 개정 고시에 따른 위험성평가 적합성 점검

▶ 위험성 평가 컨설팅 진행 과정(’23.11.28~12.8. 수행)
① (12.1.~12.6.) -> 9호선 위험성 평가서 등 자료 검토
② (12.7.) -> 현장점검, 근로자인터뷰 등 기타 용역 수행
③ (12.8.~12.9.) -> 위험성평가 컨설팅결과 초안 작성 및 보완
④ (12.9.~12.10.) -> 위험성평가 컨설팅결과 기반 사내 안전교육 시행

끝으로, Q3. 위험성 평가 컨설팅을 하며 느낀 점은?

현재 위험성평가 컨설팅 현장점검 결과 도출된 유해 위험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기술1센터 전기팀, 신호팀 및 기술2센터 토목궤도팀의 팀장, 조장 및 부서원들의 자발적인 개선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안전처에서는 위험성평가 시 현장 근로자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듣고 현장 유해 위험요소 점검을 통해 도출된 위험요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안전대책을 세우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범정부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위험성평가 중심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이자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