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뉴스
건강칼럼-팔꿈치통증
건강칼럼-팔꿈치통증
일상 생활하면서 관절은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그 중 팔꿈치는 밥 먹을 때, 문 열 때, 컴퓨터 할 때 등등 우리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팔꿈치 통증이 생기면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팔꿈치통증에 대해서 SNU서울병원 김대하 원장님이 알려드립니다.
특히 팔꿈치 통증은 스포츠 종목이 명칭으로 들어간 질환명이 있다. 골프엘보, 테니스엘보 이다. 테니스선수, 골프선수에게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팔꿈치 질환이므로 스포츠 종목 이름이 붙여졌다.
골프엘보와 테니스엘보는 둘 다 정형외과에서는 상과염 질환으로 부른다. 즉, 팔꿈치부터 아래 팔까지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상과염’이라한다.
대부분 운동선수가 많이 겪는 질환이지만 기술직, 생산직, 가정주부에게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이 잦은 사무직에게서도 반복적인 손, 팔꿈치 사용 동작들로 인해 종종 통증이 발생한다. 이처럼 상과염은 지속적으로 반복적인 팔꿈치 사용으로 손상되고 퇴행하면서 팔꿈치 뼈와 근육이 만나는 부분에 염증이 나타나 통증을 일으킨다.
팔꿈치 통증으로 병원을 내원한다면 먼저 X-Ray 검사를 실시한다. X-Ray 검사결과와 환자의 증상이 초기증상이라면 본존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보존적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교육이 해당된다. 하지만 통증이 중기 이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다면 팔꿈치에 약간의 염증이 있는 경우로 비수술적 치료로 체외충격파와 주사치료를 고려한다.
위와 같은 보존적,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팔꿈치 통증이 더 심해져 세수나 식사를 할 수 없을 만큼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불러왔다면 MRI검사를 통해 정밀하게 팔꿈치 상태를 검사 후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MRI 결과 힘줄 손상이 심하다면 손상된 조직을 제거해주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환자분들이 더 많은 편이며, 이런 경우에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회복을 도와주는 PRP 치료가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시술 후 입원 없이 바로 귀가하여 일상생활이 가능해 입원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환자 본인의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감염, 알레르기 등 부작용 면에서도 안전하다. PRP치료는 어느 병원에서나 가능하지 않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허가 받은 의료기관에서만 가능하므로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깨끗한 병원시설과 임상경험이 많은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진료부터 치료받길 바란다.